Original : [Daj mi drugie życie ] (Zic Zac/BMG Poland, 2001) - Krzysztof Krawczyk & Goran Bregović
1. Moj przyjacielu
3 Krzysztof Krawczyk Polscy piosenkarze Krzysztof Krawczyk - (ur. 8 września 1946 r. w Katowicach) - polski piosenkarz pop obdarzony charakterystycznym barytonowym głosem, gitarzysta i kompozytor. Wokalista zespołu Trubadurzy, artysta solowy od 1973 r. Wylansował wiele znanych przebojów. Współzakładał Policealną Szkołę Sztuki Estradowej w Łodzi. Jego twórczość łączy elementy rock and rolla, country i rhythm & bluesa. 폴란드 출신 포크 뮤지션
4 Krajobrazy (Pronit, 1968) - ZŁOTA PŁYTA Byłaś mi nadzieją (Muza, 1974) Rysunek na szkle (Pronit, 1976) - ZŁOTA PŁYTA Jak minął dzień (Pronit, 1977) - ZŁOTA PŁYTA Dla mojej dziewczyny (Pronit, 1979) Good Rock & Roll (Wifon, 1980) - ZŁOTA PŁYTA Niki w krainie techniki (Pronit, 1980) Daj mi drugie życie feat. Goran Bregović (Zic Zac/BMG Poland, 2001) - ZŁOTA PŁYTA Ślady na piasku (BMG, Zic Zac Music Company, 2001) http://pl.wikipedia.org/wiki/Krzysztof_Krawczyk http://es.wikipedia.org/wiki/Krzysztof_Krawczyk
3 Goran Bregović (고란 브레고비치) Yugoslav musicians Goran Bregović (Serbian Cyrillic: Горан Бреговић) (born March 22, 1950) is a musician from Bosnia and Herzegovina and one of the most recognizable modern composers of the Balkans. He declares himself as a Yugoslav.
고란 브레고비치 고란 브레고비치(Goran Bregovic)는 1950년 보스니아의 사라예보에서 태어났다. 그가 처음부터 영화음악을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 고란 브레고비치가 처음 손을 댄 음악은 록 음악이었다. 그는 70~80년대 유고슬라비아에서 10장 이상의 LP를 발매하며 15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유고슬라비아의 비틀즈'라 불리는 ‘Bijelo dugme’의 리더였다. 1974년 첫 음반으로 발표한 [Bijelo dugme]는 15년 동안 유고슬라비아에서 음반 판매량 및 공연 청중의 수 등 대중음악과 관련된 모든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유고슬라비아 최고의 밴드로 군림했다. “10대의 우상으로 살아가기 지겨워서” 1989년 개봉한 에밀 쿠스트리차의 [집시의 시간]에 영화음악을 맡은 것이 또 하나의 찬스였다. 이를 기점으로 그는 음악적 방향을 선회했고, 거기에 1991년 발칸 반도에 내전이 발생하는 곡절까지 겹쳐 영화음악은 10년 동안 그의 주된 직업이 되었다. 미국을 거쳐 파리에 정착한 그는 이 기간 동안 영화음악의 역사에서 가장 혁신적 인물들 중 한명으로 꼽히는 업적을 남겼다. [집시의 시간]의 메인 테마에서 술취한 듯 비틀거리는 리듬이 장엄한 곡조와 결합되는 것처럼 극단적인 것들 사이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 그의 탁월한 재능이다. 발칸 지역의 민속음악이 전자 음향과 결합되는 것이나 비트가 '모던'하게 전개될 때면 멜로디는 묘하게 ‘오리엔털’한 것도 마찬가지 공식이다. 그러나 이런 공식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것은 그가 '녹이는' 음악들의 다양한 스펙트럼이다. 헝가리의 작곡가 벨라 바르톡(Bela Bartok)을 포함하여 슬라브, 집시, 터키, 그리스, 불가리아 등의 민속 음악들은 인근 지역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음악이라고 치자. 하지만 재즈에 탱고에 모르나(morna)까지 들어와서 뒤섞이는 양상은 '흥미진진하다'는 표현 말고는 적절한 표현을 찾지 못하겠다. 문자 그대로 ‘멀티에쓰닉’한 그의 음악의 성격은 세르비아인 어머니와 크로아티아인 아버지 사이에 태어났다'는 출생의 이력만으로도 충분히 설명되기 힘들다. 한 평론가의 표현처럼 그는 ‘코스모폴리턴 집시(cosmopolitan gypsy)’다. 터키의 세젠 악수(Sezen Aksu), 그리스의 조르쥬 달라라스(Georges Dalaras), 폴란드의 카야(Kayah) 등 ‘서방세계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 나라에서는 수백만 장의 음반을 판매하는 국민적 스타들’의 음반에 참여한 것도 그의 음악적 특징과 잘 어울리는 행동들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집시의 시간>, <아리조나 드림>, [<더그라운드>, <여왕 마고>, <투발루>가 있다. Genre(s): Years active:
4 5 List of solo and movie soundtrack albums 2 Дискографія Goran Bregović (1976, PGP RTB) A milicija trenira strogoću (1983, Jugoton) Dom za vjesanje (1989, Kamarad - Diskoton) Kuduz (1989, Diskoton) Les Temps des Gitans - Kuduz (1990, Kamarad - PolyGram - Komuna) Arizona Dream - Soundtrack (1993, Kamarad - PolyGram - Komuna) La reine Margot - Soundtrack (1994, Kamarad - PolyGram - Komuna) Underground - Soundtrack (1995, Kamarad - PolyGram - Komuna) P.S. (compilation 1996, Komuna) Silence of the Balkans (live album 1997, Mercury Records) Düğün ve Cenaze with Sezen Aksu (1997) Prwtopsalth (Πρωτοψάλτη)- Paradexthka (Παραδέχτηκα) (1998) Ederlezi (compilation 1998, PolyGram ) Thessaloniki - Yannena with Two Canvas Shoes with George Dalaras (1999) Songbook (compilation 2000, Mercury Records - Universal) Kayah i Bregović (2000) Daj Mi Drugie Zycie (Bregovic & Krawczuk) (2001) Tales and songs from weddings and funerals (2002) Goran Bregovic's Karmen (2007- Universal) http://en.wikipedia.org/wiki/Goran_Bregovi%C4%87
* Krzysztof Krawczyk i Goran Bregovic
[Kris & Goran] (2001, BMG) -5 <Slady na piasku > |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ustielle - Loituma (핀란드) (0) | 2010.03.19 |
---|---|
Sve Smo Mogli Mi - Jadranka Stojakovic - (유고슬라비아)| (0) | 2010.03.19 |
키르기즈 민속음악 (0) | 2010.03.19 |
Rainha Ginga (깅가 여왕) - Waldemar Bastos (Angola) (0) | 2010.03.19 |
Everyone's Child - Chiwoniso Maraire (Zimbabwe) (0) | 201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