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머니즘을 노래하는 여성 싱어송라이터 토리 에이모스 Abnormally Attracted To Sin
여성에 대한 자의식과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담은 곡으로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아우르며 전세계 판매량 1,200만여장, 그래미 어워즈 노미니 등에 빛나는 지난 20년간 최고의 여성 싱어송라이터, 토리 에이모스의 10번째 앨범!
선공개되며 팬들의 반향을 불러일으킨 토리의 섬세한 보컬이 돋보이는 첫 싱글 Welcome To England 자신 역시 8세의 딸을 둔 한 명의 어머니로서 전세계 어머니들에게 바치는 두 번째 싱글 Maybe California 등 신비로운 보컬과 선율에 페미니즘과 사회적 이슈가 어우러진 신곡 총 17곡 수록

알다시피, 토리 에이모스는 데뷔 이후 지금까지 여성에 대한 시선을 거둔 적이 없다. 단지 그녀가 겪었던 불행한 과거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계 절반을 구성 한 여성들의 전쟁 같은 삶에 대해 말이다. 여성을 억압하 는 것은 남성일 수도 있고, 사회일 수도 있으며, 종교일 수도, 정치가의 야망일 수도 있다.「American Doll Posse」는 지금까지 토리 에이모스가 보여준 여성에 대 한 시선과, 광기에 사로잡힌 전쟁과, 기만적인 종교에 대 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서사시다.
그리고 또 하나 기억해야 할 사실 하나는 이번 앨범에서 정식 싱글로 발표하는 곡은 (아직까지는) 없다는 점이다. 방송을 위한 홍보용 싱글을 제작하긴 했지만 판매를 위 해 앨범의 어느 한 곡을 잘라내 싱글로 발표하지 않았다 는 말이다. 이것은 곧 토리 에이모스가 이 앨범 전체를 하나의 커다란 컨셉트로 작업했다는 뜻이다. "(연작으로 발표한) 찰스 디킨슨의 소설에서 한 챕터만 뚝 떼어 달라 고 한다면 말이 되겠는가. 요즘 사람들은 단편 문화에 익 숙해졌다. 도대체 내러티브는 어디로 사라졌단 말인가?
이 앨범을 더블 LP로 발표해야 할 만큼 방대한 분량으로 만든 이유는 내러티브 때문이다.「American Doll Posse」는 단단한 하나의 구조물"이라고 인터뷰에서 토 리가 강변한 것은 그녀가 이번 앨범에서 내러티브를 얼 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 진짜 당당하다 ㅇㅁㅇ 바람직하다 ㅇㅁㅇ 우리나라 뮤지션 중에 저런 식으로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토리 에이모스는 자신의 음악이나 언행을, 돈을 벌기 위해 대중들의 취향에 맞추지 않는다. 권력을 두려워하지 않고 진실을 알리면서 대중의 의식을 일깨운다고나 할까.. 진정한 예술가이고 개혁가라는 느낌이다. 저런 사람이 많을수록 사회와 예술이 진보할 수 있겠지. ...박다정님 홈피에서... |